소리×글자: 한글디자인 SOUND×HANGEUL : Variation Of The Korean Alphabet

국립한글박물관

2018년 4월 9일 ~ 2018년 6월 17일

국립한글박물관(관장 박영국)은 4월 9일부터 6월 3일까지 세종탄신 621돌 및 즉위 600주년 기념 특별전 <소리×글자: 한글디자인>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세종즉위 600주년(탄신 621돌)이라는 뜻깊은 해를 기념하고 한글디자인 발전의 계기를 위해 마련되었다. 창제된 지 570여 년이 지난 한글은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한국 문화의 대표적 상징이 되었다. 그동안 국내외 개최된 한글디자인 전시는 서예, 타이포그라피, 캘리그라피, 상품 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다루어졌지만 한글날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치러진 경우가 많았다. 또한‘한글 세계화’등 국내외 한글 홍보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지만 한글 관련 전시, 교육, 행사 등은 단기적 산발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2016년부터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디자인의 가능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하고 도전하는 것에 역점을 두고 ‘한글실험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이 소장한 유무형의 풍부한 한글자료를 한글디자인 개발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고, 한글의 원리와 조형성에 대한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인 주제와 대상을 새롭게 발굴하여 한글디자인 문화의 지평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자 한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한글디자인 창작과 나눔의 장으로써 박물관의 역할을 확장해나갈 것이며 동시대의 이슈와 현재를 반영하고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한글디자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이는 국가 브랜드를 알리는 데 최적의 소재인 한글, 한글디자인을 통해 국내외에 한글문화의 이해를 높여 가는 방향의 연장선상에 있다. 

올해 제2회를 맞이하는 한글실험프로젝트의 주제는 ‘소리’이다. 정인지는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에 “소리를 바탕으로 글자를 만들어 만물의 정을 통하게 하였다”라고 하며, 소리와 상호작용하는 한글의 문자적 유연성에 주목하였다. 한글은 소리가 나고 들리는 이치와 체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상징화하고 시각화한 새로운 글자 체계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한글의 탄생 원리’와 ‘소리를 나타낸 한글의 규칙성’의 두 가지 핵심 개념에 집중하여, 한글디자인을 소리의 이미지화라는 시각적 차원과 소리의 채집‧기록이라는 음성적 차원의 상관성으로 풀어냈다. 

1부 ‘소리를 담는 글자, 한글’에서는  소리가 바로 글자가 되는 한글의 탄생 원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소리가 글자로 표현될 수 있는 근거로 세종은 소리가 나오는 발음 기관을 찾았다. 말소리에 따라 달라지는 발음 기관의 특징을 연구하여 한글을 만든 것이다. 한글의 기본 글자는 발음 기관이나 발음하는 모양을 본떠 만든 자음 5개(ㄱ, ㄴ, ㅁ, ㅅ, ㅇ)와 하늘, 땅, 사람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모음 3개(ㆍ,ㅡ,ㅣ)로 구성된다. 기본 글자 8개를 알면 최대한의 소통을 누릴 수 있는 소리글자가 바로 한글이다. 이러한 한글의 탄생 원리, 소리와 한글의 상호적 관계는 한국어에 발달한 의성어와 의태어를 통해 보다 직관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이 결합하여 시각적, 언어적 즐거움을 유발하는 공감각적 표현이 많다. 시각, 청각, 촉각의 감각적 시각화를 통해 의성어와 의태어를 표현하고, 이를 관람객과 공간 그리고 전시물의 관계를 맺는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전시장에는 특별히 도시인의 일상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의성어와 의태어를 중심으로 ‘소리’가 ‘글자’로 탄생하는 과정을 영상으로 연출하였다.    

2부 ‘소리×글자×디자인’에서는 각 글자에 담긴 소리의 차이를 다룬다. 예컨대 ‘아’와 ‘어’라는 두 글자 사이에 존재하는 소리의 파장과 진동, 느낌, 표현, 무게의 차이는 디자인적으로 어떻게 풀어낼 수 있을까. 2부에서는 소리의 파장이 일어나면 움직임, 이미지, 진동의 변화가 생기듯 소리에 시시각각 대응하는 한글의 문자적 유연성과 차이를 표현한 ‘소리 길’, ‘소리 시각’, ‘소리 기록’, ‘소리 채집’의 4가지 관점에서 해석한 9팀의 작품이 전시된다. 전시 출품작 모두는 <소리×글자: 한글디자인> 전시를 위해 한글박물관과 디자이너들이 오랜 시간 동안 협업하여 만들었다. 작품은 소리를 언어로 다시 표현하는 소리 경험, 기본자 8개로 선이 입체가 되는 공간 경험을 제시하여 문자가 가진 다층적, 다의적 조형언어를 보여준다. 전시에 참여한 김윤태, 김현석, 네임리스, 빠키, 석재원, 왕현민, 장성, 정진열, 하지훈은 현재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작가들로, 건축, 가구, 그래픽, 영상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이 실험적 관점에서 한글디자인을 새롭게 조명하였다. 또한 한글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한글 자모 체험’ 키오스크가 마련되어 있다. 

세종은 백성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배우기 쉬운 체계와 원리를 갖추고 그 모양 역시 단순 명료한 형태로 구성된 새로운 문자 한글을 만들었다. 이처럼 한글은 철저히 사용자 관점에 맞춰 기획되고 디자인된 글자라고 할 수 있다. 쓰임과 목적, 방법과 심미성, 사용자의 요구 등을 고려한 디자인적 의미를 담고 앞날의 수요까지 예측하여 한글을 만든 세종의 창작 동기와 태도는 인간의 요구에 반응하여 의미 있는 질서를 만들어내는 디자인의 본질적 가치와도 맞닿아 있다. ‘누구를 위해 어떻게 디자인 할 것인가’라는 디자인의 기본 명제가 깔려 있는 한글을 통해, 디자인이 주는 사회적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살펴볼 수 있다. 한글은 디자인적 가치관과 창의적 역량이 미래에 얼마나 큰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입증하는 문자이다.  

국립한글박물관은 매해 국내외를 넘나들며 ‘한글실험프로젝트’를 전시‧홍보하여 관람객에게 한글문화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한다. 제3회 한글실험프로젝트는 2019년 새롭게 문을 여는 주한프랑스문화원 국외전을 시작으로 또 다른 한글디자인을 가지고 관람객을 만날 예정이다.

한편 전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시기간 중에는 전문 해설사에 의한 전시 해설을 운영한다. 한국어 전시 해설은 주중과 주말 1일 2회(오전 11시, 오후 3시), 영어(수, 오후 2시), 중국어(목, 오후 2시), 일본어(금, 오후 2시)는 각각 주 1회씩 실시하여 관람객들에게 보다 심도 깊은 전시 해설을 제공할 예정이다. 

출처 : 국립한글박물관

* 아트바바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전시

나라 박 데모 Nara Bak Demo

2024년 3월 23일 ~ 2024년 3월 31일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Geometric Abstraction in Korean Art

2023년 11월 16일 ~ 2024년 5월 19일

클레어 퐁텐 개인전: 아름다움은 레디메이드 Beauty is a Ready-made

2024년 3월 22일 ~ 2024년 6월 9일

스투파의 숲, 신비로운 인도 이야기

2023년 12월 22일 ~ 2024년 4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