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짐 Jungle Gym

아트스페이스풀

2018년 12월 6일 ~ 2019년 1월 13일

예술이 무엇인지에 대한 수많은 견해 중 최근 브라이언 보이드Brian Boyd의 관점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그는 예술을 생물 진화론에 있어 중요한 ‘적응’이라 밝힌다. 예술이 다양한 유형이 허용하는 풍부한 추론에 대한 인간의 강렬한 욕구에 호소하는 인지 놀이이며, 보고, 듣고, 교류하는 등 인지의 중요한 양식들에 맞춰 정신을 다듬고 재조율 하도록 우리를 자극한다는 것이다. ‘풀랩(POOLAP: Pool Artist Incubating Program)’의 지난 6개월은 서로 다른 시각 언어와 사유의 결을 키워왔던 작가들이 풀이라는 공간에 모여 서로에게 적응하는 과정이었다. 서로의 작업을 탐색하고 다층의 비평을 공유하면서, 모두는 일시적이나마 활동들이 포개지고 또 확장되는 것을 목격하였다. «정글짐»은 이러한 물리적 인과를 전시의 얼개로 삼고자 한다.

정글짐은 입방체 모양의 철골을 종횡으로 잇고 쌓은 형태의 구조물이다. 그 위를 기어 오르내리게 함으로써 3차원 공간에 대한 이해를 돕는 동시에 도시의 제한된 신체활동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점과 지형을 체험하도록 고안된 장치로, 기본적으로는 아이들을 위한 놀이기구이지만 도시의 단조로운 움직임을 생각해보면 역동적이고 복잡하기 짝이 없는 유사-축소-정글인 셈이다. 제목은 작품과 작품을 에두르는 여러 측면들이 교차하고 맞물려 있는 본 전시의 특성이 수많은 입방체가 포개어진 정글짐의 구조를 떠올리며, 관객으로 하여금 공간 속을 종횡하도록 유도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어졌다. 그리고 네 작가의 작품에서 주제와 재현 사이의 매개로써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신체’에 대한 탐구 또한 내포한다.

갈유라는 관습적 언어에 제약을 가한 상태에서 현재라는 순간이 지속하면서도 분기하는 상황을 3막의  무언극과 비어있는 1막을 통해 보여준다. ‹날이 어두워져›에는 기능이 거세된 채 외형으로만 존재하는 집물이 등장한다. 다리가 없는 의자, 빈 찻잔, 허공에 글씨를 새기는 타자기. 그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의 행위는 극이 전환될수록 집물의 역할을 신체의 내부로 흡수하며 과장되게 변모한다. 오브제는 형태에 담긴 언어를 점차 응축하고 신체는 그 언어를 확장해가며, 고착된 의미를 모호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울음소리가 급하고 반듯이 잔다›는 물질에 담긴 의미의 이동을 조형화한 것이다. 인간의 시야는 제한적이다. 때문에 필연적으로 형(形)에 담긴 의미는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명료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현재의 비가시성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작품은 출발하였다.

노혜리는 나무 합판, 주운 돌과 조개껍데기 등 우연히 발견하고 목적 없이 수집해둔 여러 일상의 물건들을 조합하고 변형하여 오브제를 만들며, 이들이 몸과 연계하는 방식을 실험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해 왔다. ‹세세리›에서는 접혔다가 펼치고 또 세우는 것, 평면이자 입체가 되는 여러 형태들이 작가의 몸을 만나 '먹는다'와 '죽음'을 잇는 네 개의 장면으로 된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꼬치요리의 부위들을 손으로 가리키는 영상이 벽면에 투사되고, 손가락 하나가 없는 사람과 얼굴에 점이 있는 사람이 대사 속에 등장한다. 모국어가 아닌 언어로 이야기를 전하는 목소리의 생경함, 체조도 춤도 아닌 기묘한 행위가 공간에 섞인 채 조금씩 어긋나는 상황은 오브제가 형태에 담긴 이야기를 스스로 말하도록 유도한다.

윤결은 가족이라는 미명 하에 유지되어온 불편한 관습 속에서 중년 여성이 은밀한 보상심리를 그들의 신체에 투사한 것에 주목한다. 기름진 파마머리를   연상시키는 전선줄에 큐빅핀이 흉터처럼 녹여져 있다(‹빠른 걸음들›). 제왕절개 수술 자국을 드러낸 세 장의 사진은 희생과 헌신으로서의 모성이 아닌 지우고 싶은 어떤 흔적으로 그려지며(‹여전히 가려운 곳›), 눈썹 문신을 하고 있는 여성의 대화 속에서 야릇하게 다가오는 생활의 관능미를 발견할 수 있다(‹백세 시대›). ‹집안 장식 대대로 물려받은 기념성질›은 한국 특유의 가족 구조에 자리 잡은 오래된 갈등을 한때 ‘집’이었던 풀의 구조를 살려 시각화했다. 공간에는 진한 코오롱 향기가 깊게 배어있다. 작가는 억척스러움으로 치부되어 온 중년 여성의 에너지에서 새로운 미를 발견하고 이를 재해석해 설치, 영상, 사진으로 풀어냈다.

이은희는 기술적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가운데 이미지와 데이터가 수집, 축적, 관리되는 과정과 그로부터 파생되는 여러 상충된 문제들에 의식을 두고 작업을 진행한다. ‹세 가지 벨트›는 디지털 이미지와 시각이 본래 어떠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궁금증으로 시작하였다. 컴퓨터 시각 인식과 관계된 첨단 산업과 전형적인 제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언어와 신체 동작에서 평행성을 발견하고, 그들의 인터뷰를 교차시켜 상영한다.이를 통해 작가는 디지털 신체 이미지와 데이터의 생성을 노동이라는 관점에서 면밀히 다루고 있다. 한편 인체의 내부를 드러내는 단층촬영(CT)에 대한 공상과 리서치, 자전적인 이야기가 혼합된 흑백의 비디오 에세이 ‹Blood Can Be Very Bad›는 현실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데이터이자 이미지인 가상현실을 떠올린다.

«정글짐»은 다층의 주제와 매체에 대한 질문으로 채워져 있다. 또한 작가들의 현재 활동만을 조명하지 않으며, 비평문은 과거의 성취를 살피며 미래에 대한 기대로 채워져 있다. 넷의 이야기가 쌓고 이어져 모서리를 맞대고 있는 풍경은 시점과 동선에 따라 다양한 양태로 변모하며 새로운 함의를 증식해낼 것이다. 이들의 행보가 일시적이나마 교차된 이번 전시가 물리적 집합으로써의 귀결이 아닌 또 다른 가능성에 대한 탐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 신지이(아트 스페이스 풀 큐레이터)

오프닝: 2018년 12월 6일(목) 오후 6시
*노혜리 작가의 <세세리> 퍼포먼스가 12월 6일(목) 오후 6시에 진행됩니다.

기획: 신지이
그래픽디자인: 강경탁(a-g-k.kr)
공간디자인: 김형준

출처: 아트스페이스풀

* 아트바바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참여 작가

  • 이은희
  • 노혜리
  • 윤결
  • 갈유라

현재 진행중인 전시

앙리 마티스와 라울 뒤피: 색채의 여행자들

2023년 12월 12일 ~ 2024년 4월 7일

풍경 INCORPOREAL LANDSCAPE

2024년 3월 13일 ~ 2024년 4월 14일

함(咸): Sentient Beings

2024년 3월 13일 ~ 2024년 4월 20일

서동욱 개인전: 토성이 온다

2024년 3월 16일 ~ 2024년 4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