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영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한국영화박물관

2018년 12월 21일 ~ 2019년 3월 23일

영사기 수선공 브루노 빈터는 오래된 극장에서 영사기를 고치며 왕년에는 무성영화 음악가였던 영사기사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많은 영화가 릴이 12개 혹은 14개나 되어서 거기 문제가 생기면 이어 맞추느라 밤을 새워야만 했다네, 다시 끼어 맞추면서… 그래도 여전히 이가 맞지 않았어.......,” 나이 든 영사기사는 <니벨룽겐>(1924)과 <벤허>(1925)를, 그리고 자기가 소유했던 극장을 추억한다.  

오랜 시간, 영화는 필름으로 영사기에 걸려 상영되었다. 1895년 12월 28일 파리의 한 카페에서 시네마토그래프라는 촬영과 영사가 가능한 기기가 선보인 이래, 35mm 셀룰로스 베이스 위의 은 입자에 빛으로 인해 맺힌 이미지들의 프레임은 1초에 16에서 24개의 속도로 이 기계에 걸려 빛을 받으며 움직이는 이야기들을 흰 스크린에 보여 주었다. 곧 일반인들도 가정에서 자신들의 일상을 찍고 볼 수 있도록 소형 포맷 필름과 영사기들이 제조되었다. 1920년 초반 프랑스 파테사에서 10~20미터 길이의 필름을 스크린에 비쳐 볼 수 있도록 9.5mm 영사기를 소개했고, 1920년~30년대에 미국 코닥사에서 8mm, 16mm 필름과 영사기를 선보였다. 휴대폰이 없었던 시절, 부유한 사람들은 자신의 여행기, 가족사를 이 작은 필름에 담아 영사기로 돌려 본인들이 한순간 소유했던 시공간을 자랑했다. 영화 필름은 기술의 발전으로 소리를, 총천연색을, 큰 화면을 얻어 갔고, 이에 걸맞은 영사기와 극장이 구비되어 보다 완벽한 매체가 되어 갔다. 그러나 이제 이렇게 필름으로 영화를 만들고 그 프린트를 영사기로 돌려 보던 시대는 점차 먼 시간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이번 기획전은 한국영상자료원이 2018년 수집한 소형 영사기를 전시하면서, 디지털 파일과 디지털 영사기에 자리를 내주고 있는 ‘필름 영사와 영사기’를 다시 무대 스크린 위에 투영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필름을 영사기 두 대에 걸고 번갈아 가며 돌렸던 영사기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려고 한다. 8mm, 16mm, 35mm 영사기를 돌리며 “반은 기억이고 반은 망각 속에 사라진 시간의 잔재를” 흔들리는 연속적인 이미지들로 되찾으려고 한다.

영화에서 브루노가 영사기 수선을 위해 마지막으로 들른 극장 영사실에서 나이 든 여인에게 묻는다. “이젠 영화 안 트나요?”, “안 틀어요, 그래도 다시 열 수 있게 지켜야죠.” 

출처: 한국영화박물관

* 아트바바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전시

황수연 개인전: 마그마 HWANG Sueyon: Magma

2024년 2월 29일 ~ 2024년 4월 20일

울산 모색 : 울 도시, 울 미술

2024년 3월 7일 ~ 2024년 6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