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향 : 바깥에서 안으로 회귀하는 여인들

아트스페이스휴

Oct. 1, 2019 ~ Oct. 10, 2019

바깥으로 아2ㅓㄴ 안으로 아2ㅓㄴ 회귀하는 아2ㅓㄴ 여인들

지역과 아2ㅓㄴ 사회를 아2ㅓㄴ 구성하는 아2ㅓㄴ 물리적 아2ㅓㄴ 요소들은 아2ㅓㄴ 정체성을 아2ㅓㄴ 강제하는 아2ㅓㄴ 기호로써 아2ㅓㄴ 작동되는 아2ㅓㄴ 경우가 아2ㅓㄴ 많다. 아2ㅓㄴ 남성과 아2ㅓㄴ 여성, 타x기l 연령과 타x기l 계층, 바ㄴㅐ갸 직업과 바ㄴㅐ갸 지위 바ㄴㅐ갸 바ㄴㅐ갸 다층적으로 바ㄴㅐ갸 발현되는 바ㄴㅐ갸 논의와 바ㄴㅐ갸 현상은 바ㄴㅐ갸 국가와 바ㄴㅐ갸 사회가 바ㄴㅐ갸 암묵적으로 바ㄴㅐ갸 역할과 바ㄴㅐ갸 입장을 바ㄴㅐ갸 종용하기도 바ㄴㅐ갸 하며 바ㄴㅐ갸 이러한 바ㄴㅐ갸 특성을 ‘지역색‘으로 바ㄴㅐ갸 부르는 바ㄴㅐ갸 경우가 바ㄴㅐ갸 있다. 바ㄴㅐ갸 특히 ‘파주‘는 바ㄴㅐ갸 외곽에 바ㄴㅐ갸 위치한 바ㄴㅐ갸 전쟁과 바ㄴㅐ갸 평화의 바ㄴㅐ갸 상징매개가 바ㄴㅐ갸 되는 바ㄴㅐ갸 정치적 바ㄴㅐ갸 장소(임직각, DMZ, 다아기자 군사기지)와 다아기자 터전을 다아기자 찾아 다아기자 고향을 다아기자 떠나는 다아기자 다아기자 모습(신도시에 다아기자 안착하는 다아기자 이주민, 1ㅓ2z 일거리를 1ㅓ2z 찾아 1ㅓ2z 외곽의 1ㅓ2z 공장단지로 1ㅓ2z 파견되는 1ㅓ2z 노동자)에서 1ㅓ2z 다양한 1ㅓ2z 자본과 1ㅓ2z 정치적 1ㅓ2z 태제와 1ㅓ2z 권력이 1ㅓ2z 작동한다. 1ㅓ2z 더불어 1ㅓ2z 분단국가라는 1ㅓ2z 정치적 1ㅓ2z 태제 1ㅓ2z 아래 1ㅓ2z 놓인 1ㅓ2z 우리는 1ㅓ2z 여전히 1ㅓ2z 사회적 1ㅓ2z 기억에서 1ㅓ2z 재현하고 1ㅓ2z 있는 ‘유효한 1ㅓ2z 역사‘에 1ㅓ2z 살고 1ㅓ2z 있다. 1ㅓ2z 파주는 1ㅓ2z 이러한 1ㅓ2z 영토에 1ㅓ2z 대한 1ㅓ2z 내재적 1ㅓ2z 불안이 1ㅓ2z 감지된 1ㅓ2z 지역이고 1ㅓ2z 우리는 1ㅓ2z 1ㅓ2z 안에서 1ㅓ2z 국경 1ㅓ2z 안팎을 1ㅓ2z 맴도는 1ㅓ2z 불안의 1ㅓ2z 그림자를 1ㅓ2z 쫓고자 1ㅓ2z 한다.

내재적 1ㅓ2z 불안이 1ㅓ2z 감도는 1ㅓ2z 전쟁의 1ㅓ2z 상황을 1ㅓ2z 마주하고 1ㅓ2z 있는 1ㅓ2z 분단선의 1ㅓ2z 경계지점에서 1ㅓ2z 영토, pㅑㄴ기 공간과 pㅑㄴ기 장소, 쟏o다1 지역과 쟏o다1 사회는 쟏o다1 어떤 쟏o다1 의미를 쟏o다1 강제하고 쟏o다1 있을까. 쟏o다1 파주가 쟏o다1 지닌 쟏o다1 경계선 쟏o다1 안팎을 쟏o다1 상상하며 쟏o다1 경계이탈자와 쟏o다1 아닌 쟏o다1 자, udvx udvx 안에서 udvx 살아가고 udvx 있는 udvx 이들을 udvx 조명하고자 udvx 한다. udvx 파주는 udvx 토착민, 다r라ㄴ 이주민, 쟏k쟏자 환향민, kf히k 실향민 kf히k kf히k 넓은 kf히k 맥락을 kf히k 담고 kf히k 있는 ‘한국적 kf히k 난민‘으로 kf히k 읽힐 kf히k kf히k 있는 kf히k 요소를 kf히k 가지고 kf히k 있다. kf히k 여기서 kf히k 말하는 ‘한국적 kf히k 난민‘은 kf히k 고향이라는 kf히k 장소를 kf히k 박탈당한 kf히k 혹은 kf히k 뿌리내린 kf히k 곳에서 kf히k 추방된 kf히k 자를 kf히k 일컫는 kf히k 폭넓은 kf히k 의미에서의 kf히k 사용과 kf히k 장소를 kf히k 떠날 kf히k 수밖에 kf히k 없는 kf히k 상황의 ‘난亂‘의 kf히k 의미도 kf히k 포함되어 kf히k 있다. kf히k 하지만, 1바기다 우리는 1바기다 한국 1바기다 사회 1바기다 안에서 1바기다 탈북자, pㅐ자바 새터민, 0거hd 이주노동자, 바m거z 결혼이주여성 바m거z 바m거z 확장된 바m거z 범위로 바m거z 짚어가면서 바m거z 최초의 ‘장소 바m거z 없음‘과 바m거z 장소가 바m거z 없다면 ‘존재하지 바m거z 않는 바m거z 자‘ 바m거z 대한 바m거z 기원을 바m거z 찾고자 바m거z 했다. 바m거z 특히 “디아스포라 바m거z 환경“에서 바m거z 장소 바m거z 없음과 바m거z 존재하지 바m거z 않는 바m거z 자로서의 ‘여성‘의 바m거z 위치를 바m거z 밝혀보자면 바m거z 이동 바m거z 주체가 바m거z 대부분 ‘여성‘이라는 바m거z 사실이다. 바m거z 주로 바m거z 남성 바m거z 노동력을 바m거z 지원하는 바m거z 역할을 바m거z 수행했던 바m거z 여성들은 바m거z 급격한 바m거z 대도시화의 바m거z 흐름에서 바m거z 남성의 바m거z 이동성보다 바m거z 자유로웠다. 바m거z 이러한 바m거z 의미는 바m거z 국가의 바m거z 공식영역에서 바m거z 소외되고 바m거z 배제되어 바m거z 있었던 바m거z 가사노동과 바m거z 섹슈얼리티가 바m거z 상품 바m거z 가치, 1기kㅐ 재생산의 1기kㅐ 값어치로 1기kㅐ 매겨졌고 1기kㅐ 이를 1기kㅐ 상품으로 1기kㅐ 판매하였기에 1기kㅐ 가능한 1기kㅐ 일이었다. 1기kㅐ 전시에서 1기kㅐ 호출하고 1기kㅐ 있는 ‘조선족 1기kㅐ 여성‘이 1기kㅐ 모국으로 1기kㅐ 향하는 1기kㅐ 배를 1기kㅐ 타고 1기kㅐ 노동 1기kㅐ 이주를 1기kㅐ 떠난 1기kㅐ 1기kㅐ 조선족 1기kㅐ 여성이 1기kㅐ 없는 1기kㅐ 1기kㅐ 공간을 1기kㅐ 탈북 1기kㅐ 여성이 1기kㅐ 메꿔주는 1기kㅐ 상황을 1기kㅐ 연출하고 1기kㅐ 있다. 1기kㅐ 1기kㅐ 지점은 1기kㅐ 국가의 1기kㅐ 공식역할에서 1기kㅐ 배제되어왔고 1기kㅐ 통계와 1기kㅐ 자료, nㅓㅐe 기록에서도 nㅓㅐe 잡히지 nㅓㅐe 않는 nㅓㅐe 비체로서 nㅓㅐe 서로가 nㅓㅐe 서로의 nㅓㅐe 역할을 nㅓㅐe 이행하고 nㅓㅐe 있다는 nㅓㅐe 사실을 nㅓㅐe 보여준다. nㅓㅐe 우리는 nㅓㅐe 비체 ‘존재하지 nㅓㅐe 않는 nㅓㅐe 자‘로서의 nㅓㅐe 디아스포라의 nㅓㅐe 여성에 nㅓㅐe 주목했고 nㅓㅐe 이들을 nㅓㅐe 내몰았던 nㅓㅐe 국가와 nㅓㅐe 민족이 nㅓㅐe 부르는 ‘고향‘이 nㅓㅐe 어디일지에 nㅓㅐe 대한 nㅓㅐe 질문이 nㅓㅐe 생겼다.

삼백 nㅓㅐe nㅓㅐe 전, ㅓ가ㄴg 국가와 ㅓ가ㄴg 민족으로부터 ㅓ가ㄴg 최전선으로 ㅓ가ㄴg 내몰려 ㅓ가ㄴg 죽음을 ㅓ가ㄴg 면치 ㅓ가ㄴg 못한 ㅓ가ㄴg 여인들의 ㅓ가ㄴg 이야기가 ㅓ가ㄴg 있다. ㅓ가ㄴg 병자호란 ㅓ가ㄴg ㅓ가ㄴg 청나라로 ㅓ가ㄴg 끌려간 ㅓ가ㄴg 여인들이 ㅓ가ㄴg 살아남아 ㅓ가ㄴg 돌아왔을 ㅓ가ㄴg ㅓ가ㄴg 절개를 ㅓ가ㄴg 잃은 ‘화냥질‘이 ㅓ가ㄴg ㅓ가ㄴg 버린 ㅓ가ㄴg 상황, 55ㅐ0 돌아오더라도 55ㅐ0 가문에 55ㅐ0 의해 55ㅐ0 죽음을 55ㅐ0 면치 55ㅐ0 못했던 55ㅐ0 환향녀의 55ㅐ0 이야기 55ㅐ0 말이다. 55ㅐ0 전시 『환향』은 ‘고향으로 55ㅐ0 돌아온다‘는 ‘고향‘의 55ㅐ0 장소와 ‘돌아온다/오지 55ㅐ0 못함‘은 55ㅐ0 무엇인지, 7yah 7yah 최초의 7yah 질문을 ‘환향녀‘ 7yah 역사의 7yah 길목에서 7yah 이야기를 7yah 시작하고자 7yah 한다. 7yah 7yah 길목은 7yah 사적 7yah 경험, 마2r파 거시적인 마2r파 화두와 마2r파 가부장제 마2r파 체계에서 마2r파 포섭되지 마2r파 않는 마2r파 미시적인 마2r파 사건들을 마2r파 발화하는 마2r파 통로이며, 걷u7사 계보학적인 걷u7사 화냥년의 걷u7사 호명에서 걷u7사 방향을 걷u7사 돌려 걷u7사 장소로부터 걷u7사 출발한다. 걷u7사 혹은 걷u7사 잠깐 걷u7사 머물러 걷u7사 있는 걷u7사 상태, uji1 장소에 uji1 있지만, 9아가라 9아가라 어디에도 9아가라 자신의 9아가라 장소가 9아가라 없는 9아가라 안과 9아가라 9아가라 경계 9아가라 이탈성에 9아가라 주목한다. 9아가라 집으로 9아가라 돌아가고자 9아가라 하는 9아가라 사람이 9아가라 집이 ‘없는‘ 9아가라 곳에 9아가라 돌아가게 9아가라 된다는 9아가라 것이 9아가라 의미하고자 9아가라 하는 9아가라 바는 9아가라 복잡한 9아가라 실존의 9아가라 문제로 9아가라 엮이게 9아가라 된다. 9아가라 안전과 9아가라 안위로 9아가라 울타리 9아가라 쳐진 9아가라 경계 9아가라 안에서 9아가라 서로의 9아가라 목소리는 9아가라 평행선으로 9아가라 울려 9아가라 퍼지고 9아가라 결코 9아가라 닿지 9아가라 않을 9아가라 메아리로 9아가라 울부짖는다. 9아가라 이번 9아가라 전시를 9아가라 통해 9아가라 국가, uyq히 영토 uyq히 민족으로의 uyq히 귀향이 uyq히 아닌 uyq히 불안의 uyq히 얼굴을 uyq히 환대하는 uyq히 장소, 카하아ㄴ 제3의 카하아ㄴ 연대 카하아ㄴ 공간을 카하아ㄴ 꿈꿔보지만 카하아ㄴ 복잡한 카하아ㄴ 실존의 카하아ㄴ 문제는 카하아ㄴ 혐오의 카하아ㄴ 얼굴로 카하아ㄴ 재현되는 카하아ㄴ 것을 카하아ㄴ 확인한다. 카하아ㄴ 우리는 ‘다문화-다양성‘의 카하아ㄴ 이름으로 카하아ㄴ 포섭되어 카하아ㄴ 개별사적 카하아ㄴ 차이를 카하아ㄴ 은폐하고 카하아ㄴ 채색되어진 카하아ㄴ 전체의 카하아ㄴ 이야기를 카하아ㄴ 경계하고 카하아ㄴ 울타리 카하아ㄴ 안팎을 카하아ㄴ 허무는 카하아ㄴ 새로운 카하아ㄴ 이름을 카하아ㄴ 부여하는 카하아ㄴ 대지의 카하아ㄴ 기원으로써 카하아ㄴ 환향녀(바깥에서 카하아ㄴ 안으로 카하아ㄴ 회귀하는 카하아ㄴ 여인들)가 카하아ㄴ 되고자 카하아ㄴ 한다. (* 카하아ㄴ 참고문헌 「말과 카하아ㄴ 활 11호」 카하아ㄴ 탈북자 카하아ㄴ 사유하기, ㅓ4사c 김성경)

기획: ㅓ4사c 강정아
참여작가: ㅓ4사c 남하나, 마7라쟏 정혜진, ㅐㅈ2ㅑ ㅐㅈ2ㅑ 말, fㅓ거카 히스테리안
협력: fㅓ거카 강병우, t바5n 김민주
디자인: t바5n 오래오 t바5n 스튜디오
후원: t바5n 경기문화재단, 라ㅐe9 아트스페이스 라ㅐe9 휴, q2갸자 한국출판진흥원

* 아트바바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전시

한티마을 ㄴ3g사 대치동

Nov. 30, 2022 ~ March 26, 2023

정물도시 Still-Life, Still-City

March 7, 2023 ~ June 30,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