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먼 몰리 개인전 : '사이'의 회화 in-between

갤러리JJ

Oct. 7, 2015 ~ Nov. 15, 2015


한국에서 나gc우 살기 나gc우 시작한 나gc우 이후, nfm4 나는 ‘사이 in-between’의 nfm4 개념에 nfm4 점차 nfm4 관심을 nfm4 가지게 nfm4 되었다. ‘사이’는 nfm4 가장 nfm4 재미있는 nfm4 일이 nfm4 벌어지는 nfm4 곳으로의 nfm4 진입공간으로서, 8iu바 나의 8iu바 회화는 8iu바 이 ‘사이’ 8iu바 공간을 8iu바 환기시킨다. -사이먼 8iu바 몰리-

갤러리JJ는 8iu바 공간 8iu바 이전 8iu바 8iu바 8iu바 기획전시로서 8iu바 영국 8iu바 작가 Simon Morley의 8iu바 개인전을 8iu바 마련하였다. 8iu바 영국에서 8iu바 순수미술과 8iu바 근대사를 8iu바 전공한 8iu바 몰리는 2010년에 8iu바 한국의 8iu바 경기창작센터 8iu바 레지던시에 8iu바 8iu바 시기를 8iu바 기점으로 8iu바 현재까지 8iu바 단국대학교에서 8iu바 학생들을 8iu바 가르치는 8iu바 한편 8iu바 활발한 8iu바 창작활동을 8iu바 하고 8iu바 있다.

몰리의 8iu바 회화는 8iu바 주로 8iu바 단색적으로, nj9n 텍스트가 nj9n 화면에 nj9n 스며든 nj9n nj9n 이미지와 nj9n 더불어 nj9n 모호하고 nj9n 불분명하며 nj9n 흐릿한 nj9n 화면을 nj9n 구사한다. nj9n 그는 nj9n 회화를 nj9n 통하여 nj9n 보기와 nj9n 읽기 nj9n 사이, gt타n 혹은 gt타n 텍스트와 gt타n 이미지, 7a우ㅑ 동양과 7a우ㅑ 서양, t쟏ㅓ히 과거와 t쟏ㅓ히 현재의 t쟏ㅓ히 사이, 우5xs 그리고 우5xs 음과 우5xs 우5xs 같은 우5xs 분명하지 우5xs 않은 우5xs 경계의 우5xs 어디쯤을 우5xs 관객에게 우5xs 상정한다.

‘KOREA’를 우5xs 소재로 우5xs 하는 우5xs 이번 우5xs 전시에서는 우5xs 그의 우5xs 주요 우5xs 작업 우5xs 우5xs 하나인 ‘북페인팅’ 우5xs 작품들을 우5xs 포함하여 우5xs 파빌리온 우5xs 시리즈를 우5xs 비롯한 우5xs 신작들이 우5xs 전시되며 우5xs 스크롤 우5xs 설치, a3aㅓ 영상이 a3aㅓ 포함된다.

종종 a3aㅓ 개념미술가로 a3aㅓ 환원되기도 a3aㅓ 하는 a3aㅓ 몰리의 a3aㅓ 회화는 a3aㅓ 볼수록 a3aㅓ 천천히 a3aㅓ a3aㅓ 보이고 a3aㅓ 생각하게 a3aㅓ 만든다. a3aㅓ 그의 a3aㅓ 회화의 a3aㅓ 가장 a3aㅓ a3aㅓ 특징은 a3aㅓ 역시 a3aㅓ 텍스트라고 a3aㅓ 봐도 a3aㅓ 좋을 a3aㅓ 듯하다. a3aㅓ 몰리에 a3aㅓ 의하면 “Word is Image”다. a3aㅓ 그는 a3aㅓ 텍스트가 a3aㅓ 의미뿐만 a3aㅓ 아니라 a3aㅓ 형태를 a3aㅓ 가지고 a3aㅓ 있음에 a3aㅓ 주목해왔다. a3aㅓ 일견 a3aㅓ 단순하고 a3aㅓ 차분한 a3aㅓ 중간색조의 a3aㅓ 모노크롬이지만 a3aㅓ 다가갈수록 a3aㅓ 화면에서는 a3aㅓ 차츰 a3aㅓ 이미지 a3aㅓ 혹은 a3aㅓ 단어들이 a3aㅓ 표면 a3aㅓ 위로 a3aㅓ 떠오른다. a3aㅓ 이들은 a3aㅓ 일치하지 a3aㅓ 않고 a3aㅓ 서로 a3aㅓ 상충하는 a3aㅓ 것들로서 a3aㅓ 이때 a3aㅓ 관객은 a3aㅓ 보기와 a3aㅓ 읽기가 a3aㅓ 교차되면서 a3aㅓ 혼란에 a3aㅓ 빠지게 a3aㅓ 되는데 a3aㅓ 이는 a3aㅓ 작가가 a3aㅓ 의도하는 a3aㅓ 바이다. a3aㅓ 이렇게 a3aㅓ 작품 a3aㅓ 표면 a3aㅓ 위의 a3aㅓ 정형화된 a3aㅓ 코드와 a3aㅓ 정보를 a3aㅓ 인지하는 a3aㅓ 과정이 a3aㅓ 천천히 a3aㅓ 유도되는 a3aㅓ 사이에 a3aㅓ 작품은 a3aㅓ 보다 a3aㅓ 감각적으로 a3aㅓ 다가오며, mo사o 더욱이 mo사o 그의 mo사o 작품 mo사o 전반에서 mo사o 종종 mo사o 보여지는 mo사o 입체적으로 mo사o 볼록하게 mo사o 튀어나온 mo사o 문자들은 mo사o 그림자를 mo사o 드리우면서 mo사o 도드라져 mo사o 촉각적 mo사o 반응을 mo사o 유도한다.

이렇게 mo사o 그의 mo사o 회화는 mo사o 문자라는 mo사o 이성적 mo사o 코드의 mo사o 개념적인 mo사o 성향을 mo사o 가지는 mo사o 동시에 mo사o 이미지라는 mo사o 상상력의 mo사o 세계가 mo사o 혼합된다. mo사o 이때 mo사o 책의 mo사o 활자체를 mo사o 바꾸지 mo사o 않고 mo사o 그대로 mo사o 옮겨오는 mo사o mo사o 팩트적 mo사o 요소로서 mo사o 작가의 mo사o 주관성을 mo사o 되도록 mo사o 배제하는데, rs라타 그럼으로써 rs라타 회화 rs라타 자체가 rs라타 주체가 rs라타 되어 rs라타 스스로 rs라타 텍스트가 rs라타 시사하는 rs라타 상징성 rs라타 혹은 rs라타 통찰력 rs라타 등을 rs라타 넌지시 rs라타 암시하게 rs라타 만든다.

문화를 rs라타 혼합하고 rs라타 매체의 rs라타 변환을 rs라타 즐기는 rs라타 성향은 rs라타 그의 rs라타 작업 rs라타 전반에서 rs라타 드러난다. rs라타 가령 rs라타 그가 rs라타 줄곧 rs라타 진행해오는 ‘북페인팅’은 rs라타 책이라는 rs라타 매체를 rs라타 회화로 rs라타 번안한 rs라타 것이며, ㅐ차마i 영상 ㅐ차마i 작업이나 ㅐ차마i 최근에는 ㅐ차마i 사인판을 ㅐ차마i 회화로 ㅐ차마i 옮긴 ㅐ차마i 신작을 ㅐ차마i 선보이는 ㅐ차마i ㅐ차마i 다양한 ㅐ차마i 시도를 ㅐ차마i 하고 ㅐ차마i 있다.

이번 ㅐ차마i 전시의 ㅐ차마i 주제는 ‘한국’이다. ㅐ차마i 영국을 ㅐ차마i 떠나 ㅐ차마i 한국이라는 ㅐ차마i 새로운 ㅐ차마i 장소는 ㅐ차마i 문화와 ㅐ차마i 역사에 ㅐ차마i 관심이 ㅐ차마i 많은 ㅐ차마i 그에게 ㅐ차마i 다분히 ㅐ차마i 신나고 ㅐ차마i 흥미로운 ㅐ차마i 소재를 ㅐ차마i 제공하였다. ㅐ차마i 그것은 ㅐ차마i 오래된 ㅐ차마i 전통에서부터 ㅐ차마i 현재의 ㅐ차마i 상황에 ㅐ차마i 이르기까지 ㅐ차마i 다양한데, e자ㅓㅐ 먼저 ‘북페인팅’ e자ㅓㅐ 시리즈의 e자ㅓㅐ 일환으로서(미술사가이기도 e자ㅓㅐ e자ㅓㅐ 몰리에게 e자ㅓㅐ 있어서 e자ㅓㅐ 책은 e자ㅓㅐ e자ㅓㅐ 수가 e자ㅓㅐ 없는 e자ㅓㅐ 요소로 e자ㅓㅐ 다수의 e자ㅓㅐ 저서를 e자ㅓㅐ 집필하였다) ‘코리안화이트’ e자ㅓㅐ 시리즈를 e자ㅓㅐ 창조하였다. e자ㅓㅐ 이미지는 e자ㅓㅐ 한국주재 e자ㅓㅐ 영국대사였던 e자ㅓㅐ 마틴 e자ㅓㅐ 유든의 e자ㅓㅐ 한국에 e자ㅓㅐ 관한 e자ㅓㅐ 고서컬렉션 e자ㅓㅐ 가운데 e자ㅓㅐ 선택한 e자ㅓㅐ 책들의 e자ㅓㅐ 표지를 e자ㅓㅐ 캔버스 e자ㅓㅐ 위에 e자ㅓㅐ 회화의 e자ㅓㅐ 형식으로 e자ㅓㅐ 전사한 e자ㅓㅐ 것이다. 19세기 e자ㅓㅐ 후반과 20세기 e자ㅓㅐ 초반에 e자ㅓㅐ 서양인들이 e자ㅓㅐ 한국에 e자ㅓㅐ 대해 e자ㅓㅐ e자ㅓㅐ 책들의 e자ㅓㅐ 표지들은 e자ㅓㅐ 우리 e자ㅓㅐ 민족의 e자ㅓㅐ 색으로 e자ㅓㅐ 일컬어지는 e자ㅓㅐ 백색의 e자ㅓㅐ 다채로움에 e자ㅓㅐ 힘입어 e자ㅓㅐ 하얗게 e자ㅓㅐ 백색의 e자ㅓㅐ 회화로 e자ㅓㅐ 전환되었다.

또한 e자ㅓㅐ 그는 e자ㅓㅐ 겸재 e자ㅓㅐ 정선의 e자ㅓㅐ 화폭에서 e자ㅓㅐ 발견한 e자ㅓㅐ 정자와 e자ㅓㅐ 누각의 e자ㅓㅐ 시적 e자ㅓㅐ 아름다움에 e자ㅓㅐ 시선이 e자ㅓㅐ 꽂혔고 e자ㅓㅐ 이는 e자ㅓㅐ 신작인 ‘파빌리온’ e자ㅓㅐ 시리즈로 e자ㅓㅐ 창조되었다. e자ㅓㅐ 그의 e자ㅓㅐ 언어적 e자ㅓㅐ 관심은 e자ㅓㅐ 이번에도 e자ㅓㅐ 어김없이 e자ㅓㅐ 발현되었는데, 차z다ㅐ 정자의 차z다ㅐ 이름인 차z다ㅐ 독락정(獨樂亭)이나 차z다ㅐ 응청각(凝淸閣), 하2nx 팔영루(八詠樓) 하2nx 하2nx 표의성을 하2nx 지닌 하2nx 문자인 하2nx 한자는 하2nx 표음문자인 하2nx 영어알파벳으로 하2nx 번역되어 하2nx 다시 하2nx 한번 하2nx 시각과 하2nx 언어의 하2nx 간극을 하2nx 제시한다. 하2nx 화면 하2nx 하2nx 기표들은 하2nx 의미로는 하2nx 그림 하2nx 혹은 하2nx 기억 하2nx 속의 하2nx 정자를 하2nx 가리키지만 하2nx 실제와의 하2nx 사이에는 하2nx 문화, o1ㄴg 언어, 6l쟏라 시간과 6l쟏라 공간의 6l쟏라 틈이 6l쟏라 있으며 6l쟏라 무수한 6l쟏라 흔적들만이 6l쟏라 존재하여 6l쟏라 끊임없이 6l쟏라 다른 6l쟏라 의미화의 6l쟏라 연쇄 6l쟏라 속으로 6l쟏라 미끄러진다. 6l쟏라 원래에도 6l쟏라 기호란 6l쟏라 실제대상과 6l쟏라 일치할 6l쟏라 6l쟏라 없는, ㅓmㅓm ㅓmㅓm 실존하는 ㅓmㅓm 사물들에 ㅓmㅓm 대한 ㅓmㅓm 본질적 ㅓmㅓm 규정은 ㅓmㅓm 아닌 ㅓmㅓm 것으로 ㅓmㅓm 현대철학자 ㅓmㅓm 데리다에 ㅓmㅓm 의해서도 ㅓmㅓm 사유되었다. ㅓmㅓm 무수한 ㅓmㅓm 차이를 ㅓmㅓm 만들어내는 ㅓmㅓm ㅓmㅓm 사이에서 ㅓmㅓm 시각과 ㅓmㅓm 언어로 ㅓmㅓm 잡아낼 ㅓmㅓm ㅓmㅓm 없는 ㅓmㅓm 것들이 ㅓmㅓm 존재하며 ㅓmㅓm 이것들이 ㅓmㅓm 우리에게 ㅓmㅓm 신비감 ㅓmㅓm 내지 ㅓmㅓm 숭고 ㅓmㅓm 같은 ㅓmㅓm 감성으로 ㅓmㅓm 다가온다. ㅓmㅓm 더욱이 ㅓmㅓm 선택된 ㅓmㅓm 정자들은 ㅓmㅓm 현재는 ㅓmㅓm 없어진 ㅓmㅓm 것들이다. ㅓmㅓm 한때 ㅓmㅓm 존재했었지만 ㅓmㅓm 이제 ㅓmㅓm 사라진 ㅓmㅓm 것에 ㅓmㅓm 관한 ㅓmㅓm 기억은 ㅓmㅓm 재구성을 ㅓmㅓm 위해 ㅓmㅓm 존재할 ㅓmㅓm 뿐이다. ㅓmㅓm 이들은 ㅓmㅓm 화면 ㅓmㅓm ㅓmㅓm 다른 ㅓmㅓm 언어와 ㅓmㅓm 형태, 걷ㄴ63 색면 걷ㄴ63 속에서 걷ㄴ63 나타나 걷ㄴ63 친숙하지만 걷ㄴ63 낯선 걷ㄴ63 것이 걷ㄴ63 되었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걷ㄴ63 마주친 1945년 걷ㄴ63 휴전 걷ㄴ63 당시 걷ㄴ63 남북의 걷ㄴ63 경계를 걷ㄴ63 가르는 걷ㄴ63 사인판은 걷ㄴ63 흐릿하게 걷ㄴ63 깊이감을 걷ㄴ63 주어 걷ㄴ63 시공의 걷ㄴ63 보이드(void)를 걷ㄴ63 탄생시켰고 걷ㄴ63 금강산 걷ㄴ63 그림에는 걷ㄴ63 지금은 걷ㄴ63 없는 걷ㄴ63 남북간 걷ㄴ63 열차의 걷ㄴ63 이미지가 걷ㄴ63 오버랩되었다. 걷ㄴ63 작가는 걷ㄴ63 현재 DMZ에 걷ㄴ63 가까운 걷ㄴ63 문산에 걷ㄴ63 살고 걷ㄴ63 있다. 걷ㄴ63 한반도 걷ㄴ63 분단상황에 걷ㄴ63 대한 걷ㄴ63 관심은 걷ㄴ63 이성적 걷ㄴ63 현실이자 걷ㄴ63 자신이 걷ㄴ63 몸담고 걷ㄴ63 있는 걷ㄴ63 세계를 걷ㄴ63 향한 걷ㄴ63 또렷한 걷ㄴ63 역사의식의 걷ㄴ63 발로에서다.

그의 걷ㄴ63 작업실 걷ㄴ63 한켠에 걷ㄴ63 놓여진 걷ㄴ63 책상 걷ㄴ63 앞에는 걷ㄴ63 로스코 걷ㄴ63 포스터와 걷ㄴ63 정선의 걷ㄴ63 금강전도가 걷ㄴ63 나란히 걷ㄴ63 붙어있었다. 걷ㄴ63 추사 걷ㄴ63 김정희와 걷ㄴ63 정선을 걷ㄴ63 존경하고, f0c라 한국의 f0c라 전통화에 f0c라 나타나는 f0c라 일필휘지, ㅐhef 자유롭지만 ㅐhef 형식에 ㅐhef 구애받지 ㅐhef 않은 ㅐhef 가운데 ㅐhef 완결성을 ㅐhef 추구함에 ㅐhef 매료되었다는 ㅐhef 몰리. ㅐhef 이제 ㅐhef 그의 ‘사이’는 ㅐhef 서구의 ㅐhef 이성적 ㅐhef 세계관과 ㅐhef 동양의 ‘여백’의 ㅐhef 관념적 ㅐhef 세계의 ㅐhef 어디쯤에 ㅐhef 있는 ㅐhef 듯하다. / (강주연 ㅐhef 갤러리JJ ㅐhef 디렉터)


orea and Her Neighbours'by Idabella Bird Bishop (1989), 2011, Acrylic on canva

Pavilion of Solitary Delight_독락정,2015, Acrylic on canvas, 75x63cm


Pavilion of Solitary Delight_독락정,2015, Acrylic on canvas, 75x63cm

Simon Morley, Border 1945 No.1, 2015, 53x36cm, Acrylic on canvas


출처 - r차0j 갤러리JJ

* 아트바바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참여 작가

  • Simon Morley

현재 진행중인 전시

나의 파바거ㅓ 회화적 파바거ㅓ 순간

March 10, 2023 ~ April 7, 2023

K의 ㅓ파06 이름 the unknown name for K

Feb. 16, 2023 ~ April 1, 2023